전체검색

사이트 내 전체검색

조사연구

보고서현황

달성 성하리유적(達城城下里遺蹟)I~XI

본문

유 적 명대구 달성종합스포츠파크 조성사업부지내 유적 문화재청 허가번호2009-301
유적위치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성하리 228-2번지 일원 발굴유형시굴, 정밀발굴
조사기간2009.07.06. ~ 2011.12.27.
조사면적시굴: 144,500㎡, 정밀발굴: 43,939㎡
유적종류분묘, 생활, 생산 유    형고분, 토기매납유구, 분묘, 주거지, 건물지, 수혈, 자연구, 주혈군, 토기요지, 와요
시    대청동기~조선
내    용

1권 달성성하리유적Ⅰ(청동기~초기철기시대편)

2~7권 달성성하리유적Ⅱ~Ⅶ(고분편 6-6)

8권 달성성하리유적Ⅷ(고려시대편)

9권 달성성하리유적Ⅸ(조선시대편)

10권 달성성하리유적Ⅹ(시대미상편)

11권 달성성하리유적ⅩⅠ(고찰,부록)


  달성 성하리유적에 대한 발굴조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이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군민 체력 증진과 한마당에서의 각종 행사를 위한 대구 달성종합스포츠파크 조성사업부지 추진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2여 년에 걸쳐 진행된 발굴조사 결과, 유구는 청동기시대의 주거지·수혈·토기요지(소성유구), 초기철기시대의 분묘, 삼국시대의 분묘·제사유구·수혈·자연구, 고려시대의 분묘·주거지·매납유구·수혈·자연구·와요지, 조선시대의 분묘·건물지·주거지·수혈·주혈군·구 그리고 시대미상 분묘와 수혈 등 모두 1,770기가 조사되었다. 그리고 유물은 토기류 2,366건 3,142점, 자기류 383건 389점, 와류 69건 69점, 옥석류 46건 606점, 금속류 2,774건 2,906점 등 모두 5,638건 7,112점이 출토되었다.

 

  청동기시대의 유구는 주거지12기, 수혈2기, 토기요지(소성유구) 1기 등 모두 15기가 조사되었다. 주거지는 완만한 사면에서 중복되지 않고 드문드문 분포하는데, 유존상태는 양호하지 않았다. 그 주변에 작은 수혈들이 분포하며, 사면의 하위에 토기요지가 위치한다.

 

  초기철기시대 유구는 분묘 5기가 조사되었으며 모두 등고선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조성되었다. 유적의 남동편 경계부에 형성되어 있는 삼국시대의 자연구와 지표에서 이 시기의 유물이 수습되어 인근 일대에는 동시기의 유구가 유존할 가능성이 높다.

 

  삼국시대의 유구는 고분 267기(매장주체부 기수는 367기), 토기매납유구 2기, 수혈 1기, 자연구 1기 등 모두 271기가 조사되었다. 고분 중에는 석실주체의 봉토분과 봉분이 유실된 석실묘, 석곽묘그리고 옹관묘와 토광묘, 위석목관묘, 위석곽묘가 있다. 하나의 봉분을 이룬 단위 고분의 구성은 단봉분에 단곽(실)인 것, 혹은 2기~최대 6기까지 시차를 두고 선후관계로 조성된 것으로 구분된다. 단위 고분들의 중복관계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대체로 약간의 연접상태이거나 일정 간격을 두고 등고선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조성된 예가 다수이다. 유적 동편의 상대적 고위인 평탄한 설상대지에는 대체로 군내 이른 시기의 대형과 중형 봉토분이 분포한다.

 

  고려시대의 유구는 분묘(석곽·목관·토광묘) 134기, 매납유구4기, 수혈주거지1기, 수혈 1기, 와요 1기 등 모두 142기가 조사되었다.

 

  조선시대의 유구는 분묘(회곽·목관·토광묘) 166기(매장주체부 기수는 173기), 건물지 1기, 주거지 3기, 수혈 5기, 구 2기, 주혈군 2기 등 모두 179기가 조사되었다. 분묘 중에는 나지막하게나마 봉분이 유존하거나 계석이 있는 점으로 보아 2기의 묘가 하나의 묘역 안에 이른바 쌍분으로 조성된 것도 확인되었다.


  시대미상의 유구는 분묘 1,155기, 수혈 3기 등 모두 1,158기로 유적 내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